2022. 9. 24. 10:11ㆍ쉬운전기
저항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했을 때
그 결과인 Rtotal, 다른말로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합니다
1) 직렬로 연결된 저항들은 저항이 그만큼 길어진 것과 동일하므로, 저항들을 단순히 더하면됩니다
2) 병렬로 연결한 저항들은 직렬과 반대 현상을 보입니다
내가 저항인데, 내 옆에 하나의 저항이 추가되었다면?
전선의 단면이 조금이라도 넓어진 것과 같으므로, 둘 중 작았던 저항보다도 오히려 저항이 감소함을 알 수 있습니다
즉, 흐르는 단면적이 넓어지는만큼 반비례하여 저항이 줄어들어
결국 전체저항의 역수가 각 저항을 역수한 것들의 합과 같게 됩니다
따라서, 3개의 선으로 병렬연결했을때 각 도선을 흐르는 전류의 합은
I = I1 + I2 + I3 이고
양 단의 전압은 모두 같으므로
V1 = V2 = V3 = V
옴의 법칙을 이용하면
V/R = V/R1 + V/R2 + V/R3

다시 정리해 보면,
직렬저항의 합은
Rtotal = R1 + R2 + R3
병렬저항의 합은
1/Rtotal = 1/R1 + 1/R2 + 1/R3
이제 다음의 문제들을 통해서 직렬 및 병렬 연결된 저항들의 합을 계산하고 이해해 봅니다
문제 1, 2의 저항값은 R1 = 2Ω, R2 = 3Ω 입니다
문제 1) 두 저항을 직렬연결했다면 합성저항은?

Rtotal = 2 + 3 = 5Ω
문제 2) 두 저항을 병렬연결했다면 합성저항은?

1/Rtotal = 1/2 + 1/3 = 3/6 + 2/6 = 5/6
Rtotal = 6/5 = 1.2Ω
이어서 옴의 법칙에서 파생되는 분배전압, 분배전류 등을 추가로 올리겠습니다
'쉬운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렬 병렬 저항의 계산-3 (0) | 2022.09.24 |
---|---|
직렬 병렬 저항의 계산-2 (0) | 2022.09.24 |
전기저항 및 비저항 (0) | 2022.09.24 |
옴의 법칙 쉽게 이해하기 (0) | 2022.09.24 |
전자기 유도 및 유도전류 (0) | 2022.09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