계산(4)
-
교류의 표현 7 - 혼합파형의 실효값
혼합파형은 특수파 혹은 왜형파라고도 부릅니다 평균값 계산에 이어 실효값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먼저 구형파(사각파형)에 대해 알아보면, 위 그림은 직류(구형파)이며 최대값 평균값 실효값이 모두 Vm입니다 다음으로, 주기가 2π인 반파 구형파는 아래와같이 표현됩니다 이 때의 구형파의 실효값은 반만 남았으므로 1/2 Vm이 아니고 root-mean-square인 RMS 실효값이므로 1/√2배를 곱해 실효값 = Vrms = 1/√2 Vm : 반파 구형파 이 됩니다 (교류의 표현 5 표 참조) 주기가 2π일 때 구형파가 반의 반, 즉 1/4만 남았다면 또 다시 1/√2배를 곱해 실효값 = Vrms = (1/√2) x (1/√2) Vm = 1/2 Vm 1/8만 남았다면 여기에 다시 1/√2배를 곱하면 됩니다 이번에는..
2022.09.30 -
직렬 병렬 저항의 계산-2
옴의 법칙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봅니다 "저항 R에 흐르는 전류 I는 전압 V에 비례하고 저항 R에 반비례한다" 따라서 옴의 법칙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표현합니다.. 단위는 [ ] 안에 표시합니다 V = I R [V] I = V / R [A] R = V / I [Ω]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, 양 끝단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전류 I가 동일하므로 R1과 R2에 동일한 전류가 흐르고, 각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은 저항의 크기에 비례하여 분배됩니다 합성저항, 또는 Rtotal = R = R1 + R2임을 이미 알고 있고.. R1에 걸리는 전압 V1 = I R1, R2에 걸리는 전압 V2 = I R2 가 됩니다 그리고 전체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V = I (R1 + R2)가 됩니다 저항이 높을..
2022.09.24 -
직렬 병렬 저항의 계산-1
저항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했을 때 그 결과인 Rtotal, 다른말로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1) 직렬로 연결된 저항들은 저항이 그만큼 길어진 것과 동일하므로, 저항들을 단순히 더하면됩니다 2) 병렬로 연결한 저항들은 직렬과 반대 현상을 보입니다 내가 저항인데, 내 옆에 하나의 저항이 추가되었다면? 전선의 단면이 조금이라도 넓어진 것과 같으므로, 둘 중 작았던 저항보다도 오히려 저항이 감소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, 흐르는 단면적이 넓어지는만큼 반비례하여 저항이 줄어들어 결국 전체저항의 역수가 각 저항을 역수한 것들의 합과 같게 됩니다 따라서, 3개의 선으로 병렬연결했을때 각 도선을 흐르는 전류의 합은 I = I1 + I2 + I3 이고 양 단의 전압은 모두 같으므로 V1 = V2 = ..
2022.09.24 -
신기한 전기_2 : 벡터란 무엇인가
우선 스칼라와 벡터를 비교해 보면 스칼라는 크기만 있고,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포함한 개념이라는 것 따라서 스칼라를 사용하는 것들은 키, 몸무게, 일, 전압, 속력 등이 있고 벡터를 사용하는 것들은 힘, 전기장, 중력장, 속도 등이 되겠다 이제 벡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참고로, 아래 타이핑된 글자에서 편의상 벡터를 알파벳의 굵은체로 표시한다 그림 내에서도 벡터는 굵은체로 표시된다 1) 벡터의 표시 : 붉은 화살표처럼 크기와 방향을 그리고 벡터 A라고 읽는다 2) 벡터의 수학적 표현 A = (a1, a2,a3) = a1i + a2j + a3k 여기서 i, j, k는 단위벡터인데 크기는 1이고 각각 x, y, z축 방향을 표시한다 3) 벡터의 성질 1.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고정한 채..
2022.09.23